- 올해 9월까지 코로나-19 이전 90% 수준까지 조기 회복 추진
- 일본·중국 등 중점 회복, 인천-프라하·취리히 등 중단노선도 운항재개
- 5대 지방국제공항(김해·대구·무안·청주·양양공항) 부정기편 착륙료 면제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내수활성화 대책(3.29, 정부합동 발표)」에 따른 후속조치로, 올해 9월까지 국제선 운항횟수를 코로나-19 이전(‘19년 평균) 대비 90% 수준까지 조속히 회복하기 위해 국제선 증편과 함께 지방공항 취항 지원, 환승관광 재개 등 외국인 관광객 유치 노력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 국제선 정기편 운항계획 】
□ 국제선 정기편은 운항횟수가 증가하여, 204개 노선에서 주 4,075회 운항할 계획으로, 코로나-19 이전(’19년 평균) 대비 90% 수준으로 회복이 예상된다.
ㅇ 특히, 코로나-19 이전 전체 국제선의 절반을 차지한 일본과 중국 노선의 정상화를 중점 지원하여, 정기편은 올해 9월까지 코로나-19 이전 대비 일본 노선은 92%, 중국 노선은 87% 조기 회복될 전망이며,
ㅇ 코로나-19 이후로 운항이 중단되었던 인천-프라하, 인천-취리히, 인천- 마드리드, 김해-가오슝의 운항이 재개되고, 인천-뉴왁, 김포-베이징(다싱) 노선이 신규로 취항하여 국민들의 선택권이 확대된다.
< 국제선(정기편) 주요 운항재개‧신규취항 현황 및 계획 >
ㅇ 아울러, 일본·중국 주요 노선인 인천공항 출발 나리타(주144회→168회), 오사카(주143회→168회), 상하이(주2회→88회), 칭다오(주12.5회→137회) 등이 증편되고, 김해-베이징, 대구-상하이, 청주-오사카, 무안-상하이 등 지방공항 출발 노선도 운항이 재개된다.
□ 이러한 운항 증가로, 코로나-19 이전 대비 동북아 노선은 89%, 동남아 노선은 91%(베트남 97%, 필리핀 94%, 태국 84%), 미주 노선은 92%(미국 92%, 캐나다 103%), 유럽 노선은 97%(독일 119%, 프랑스 95%, 영국 67%*) 회복이 예상된다.
* 코로나-19 이후 영국측 항공사는 운항 중단 상태
< 국제선(정기편) 주요 지역별·국가별 운항실적 및 계획 >
ㅇ 나아가, 지역별 항공수요 회복에 따라 항공사가 임시 증편을 신청할 경우, 적극 허가하여 충분한 공급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부정기편 등 지원 확대 】
□ 국토교통부는 국제선 정기편 90% 수준 회복을 전망하는 가운데, 조기 회복을 촉진하기 위해 지방공항 취항을 적극 지원하고, 인천공항 환승여객 유치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 지방공항은 기존 정기편 뿐만 아니라 부정기 항공편까지 취항에 따른 혜택(인센티브)을 확대 지원하여, 방한수요의 신속 회복 등 지역 내수경제 활성화를 추진한다.
ㅇ 한국공항공사는 5개 지역 국제공항(김해‧대구‧무안‧양양‧청주) 취항 부정기편에 대해, 외국인 탑승비율이 50% 이상인 경우 각 공항별로 항공사당 최대 16편까지 한시적(’23년 5월~11월)으로 착륙료를 면제하며,
ㅇ 이와 함께 각 지자체(강원‧대구‧부산‧전남‧충북)에서도 신규노선 운항지원, 일정 탑승률 미만 시 손실지원 등 부정기 항공편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 공항별 지자체의 부정기편 지원 계획(안) >
또한, 「내수활성화 대책(3.29, 정부합동 발표)」에 따른 3종 환승 무비자제도* 복원(5월)에 맞추어 인천공항 환승여객을 늘리는** 등 국제선 증편을 적극 유도해 나간다.
* ❶ 유럽·미국 등 34개국 입국비자 소지자가 한국에서 환승시(최대 30일 체류, 지역제한 없음)
❷ 인천공항 환승 프로그램 이용시(❶ 대상자 外, 최대 3일 + 수도권에만 체류 가능)
❸ 중국 단체관광객이 국내공항(인천 등 7개) 입국 → 제주공항으로 환승시
(최대 5일(양양 10일) + 각 공항 권역 및 수도권 체류 가능)
** (’19년) 840만명 → (’20년) 200만명 → (’21년) 53만명 → (’22년) 279만명 → (’23년 목표) 600만명 이상
ㅇ 환승여객의 환승시간, 여행형태 등을 고려하여 기간별(1~3일), 지역별로 다양한 환승투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현지 로드쇼, 할인권 제공 등 프로모션으로 미국‧중국‧동남아 등 단기 체류 환승 관광객 유치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 1∼5시간 수도권 중심의 무료 및 1∼3일 수도권·지방 중심의 유료 프로그램 다수
(예시) 전통테마 2박3일(경상·충북·서울) : 불국사·첨성대(1일차)-하회마을·청남대(2일차)-남산·경복궁(3일차)
【 인기 국내 노선 증편 지원 】
□ 항공사들의 국제선 증편에 따라 국내선 정기편 운항은 일부 감소하여 코로나-19 이전 운항횟수 수준(주 1,881회)으로 운항할 계획이며,
ㅇ 4월 봄철 여행객 증가에 대비하여 제주-김포‧김해‧대구‧청주와 김포-김해 등 수요가 많은 5개 노선*에는 주 113회 임시 증편하여 공급석을 대폭 확대하는 한편, 모든 지방공항에서도 제주행 정기노선이 안정적으로 운항할 수 있도록 제주공항 슬롯도 지방 노선에 안배하였다.
* 김포-제주(주 15회↑), 김해-제주(주 27회↑), 대구-제주(주 5회↑), 청주-제주(주 20회↑), 김포-김해(주 46회↑)
ㅇ 또한, 지난해 9월 국제선 환승객 전용으로 인천-김해 직항 노선이 운항을 재개했고, 4월 23일부터는 인천-대구 노선이 추가되면서 지방에서 인천공항을 통해 해외로 이동하는 이용객의 편의성도 크게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국토교통부 김영국 항공정책관은 “국제선 회복기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지상조업 부족 문제 등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민·관합동 항공회복지원단(단장: 항공정책관)을 구성하여 원활한 회복을 적극 관리할 계획”이라면서,
ㅇ “국제선 확대가 외국인 입국 확대 등 내수 진작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다양한 방안도 지자체 등과 함께 추진해 나가는 한편, 지방 국제노선 확충을 통해 지역 주민들의 편의성 증대에도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 국토교통부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수민 아나운서의 싱그러운 표정 (0) | 2023.06.24 |
---|---|
부산기업, 2030세계박람회 유치후원 기부금 127.5억 원 쾌척 (0) | 2023.04.28 |
채원빈 프로필, 검은티 브라끈 (0) | 2023.03.27 |
한소희 매력적인 입술 (0) | 2023.03.24 |
웰니스 신메뉴 품평회 실시 (0) | 2023.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