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류 진통제 기획 합동점검 결과 발표

반응형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펜타닐·옥시코돈* 등 마약류 진통제 오남용 처방 의심되는 의료기관 49개소를 점검(기간: 6.20.~24.)한 결과,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을 위반 의료기관 34개소와 불법 투약이 의심되는 환자 16명 적발·조치했습니다.

 

‘마약제로 프로젝트’는 의료용 마약류 오남용 제로 프로젝트입니다.

 

    * 펜타닐, 옥시코돈: 모르핀 등과 같은 오피오이드 계열의 의료용 마약으로, 신체적‧정신적 의존성을 야기할 수 있어 중등도 이상의 심한 통증의 환자에게만 사용

 

주요 위반 내용은 ▲업무 목적 외 마약류 취급 의심 마약류 취급내역 보고 위반 저장시설 점검 미작성 등입니다.

 

위반 유형별 의료기관 수, 조치사항 등

 

마약류 진통제 기획 합동점검 결과 발표

* 위반사항별로 의료기관 수를 산정(계는 중복 의료기관 숫자 제외)

** 보고기한: (마약·프로포폴) 취급일로부터 7일 이내 / (프로포폴 외 향정신성의약품) 취급한 달의 다음 달 10일까지

 

약처는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빅데이터 분석(대상기간: 2021) 결과를 토대로 진통제 과다 처방·투약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의료기관에 대해 마약류 오남용 또는 불법 사용 여부 등을 면밀히 점검했습니다

 

 

진통제(비암성 만성통증) 안전사용 기준 주요내용

 

 (일반원칙) 오남용 가능성이 높은 약물임을 항상 인식

  (기간) 처음 처방 시 1회 처방당 7일 이내 단기 처방하며 추가 처방의 경우, 가능한 1개월 이내로 처방

   - 최대 3개월 이내로 처방할 것을 권장하며, 패치제는 투여 간격 준수

  (용량) 가장 낮은 효과적인 용량 사용

  (연령) 기본적으로 만 18세 이상 환자에게 사용

 

 

이번 점검에서 A의원 2019 7월부터 2021 11월까지  27개월 동안 환자 B에게 펜타닐 패치(100μg/h)  243(2,430) 처방·투약한 사례가 확인됐습니다.

또한 환자 C 2021 1월부터 2022 3월까지  15개월 동안 19개 의료기관을 돌아다니며 옥시코돈(10mg) 총 222회(6,824정) 처방·투약받은 사례도 확인됐습니다.

 

식약처는 마약류 진통제를 처방‧투약할 때는 안전사용 기준 준수 처방‧사용하고, 과다·중복 처방 등을 방지하기 위해 처방 전 마약류 의료쇼핑 방지 정보망(data.nims.or.kr)에서 환자의 의료용 마약류 투약 내역 조회‧확인할 것을 의사회 등 관련 단체 당했습니다.

 

또한 펜타닐 패치 옥시코돈을 처방·사용하는 경우에 의사 환자 알아야 할 주의사항 담은 안내서를 제작해 일선 의료현장에 배포했습니다.

 

 

◆ ‘펜타닐 패치’, ‘옥시코돈’ 안전사용 안내서 주요 내용

 

 비약물치료(인지행동 치료, 물리치료 등) 또는 비마약류 진통제(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등) 사용을 우선하고, 최초 치료제로 사용 금지

 통증에 효과가 있는 가장 낮은 투여 용량으로 시작하며, 환자의 병력과 약물 사용력에 대한 확인 후 신중히 처방

 18세 미만의 소아·청소년에게 사용 금지(비암성 만성통증에 한함)

  (펜타닐 패치)  패치제 1매를 3일(72시간) 사용
   (옥시코돈) 4-6시간(속효성), 12시간(서방형)마다 1정씩 투여 

 

* 의료용 마약류 진통제 안전사용 기준, 펜타닐 패치‧옥시코돈 안전사용 안내서는 식약처 누리집(법령/자료→자료실→안내서/지침)에서 확인 가능

 

 

출처 - 식약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