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회사인 (주)동성케미컬(舊 (주)동성코퍼레이션)은 2008년 5월 (주)동성화학으로부터 분할 설립된 비금융 지주회사(持株會社, Holding Company) (주)동성홀딩스로 출발하였으며, 2015년 7월 (주)동성하이켐, 2021년 4월 (주)동성화학과 합병을 통해 현재는 제조업을 함께 영위하고 있습니다.
동성케미컬 102260 코스피
동성케미컬의 주가는 4445원이다. 52주 고가 5280원, 52주 저가 3800원이다.
시총순위 코스피 545위로 시가총액 2209억원이다.
동성케미컬의 주가전망은 큰 상승이나 하락은 없는 보합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약간은 하락곡선을 그릴 수도 있겠지만 굴곡이 있으면 다시 상승선도 탈 것이기 때문에 느리지만 상승 곡선을 추천해 본다.
주 소 |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산로 99 (신평동) |
전화번호 | 051-200-4500 |
홈페이지 | http://www.dongsungchemical.co.kr |
회사의 사업은 크게 지주부문과 사업부문으로 구분됩니다. 지주부문은 타회사의 주식 취득을 통해 그 회사에 대한 실질적인 지배권을 취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주 수입원은 자회사 등으로부터 받는 배당금입니다.
한편 사업부문은 Paraffine 용제, Naphthene용제, Aliphatic용제, De-aromatic 용제등 기능성용제를 개발, 제조하는 석유화학 사업 및 Butyl계, Amyl계, Hexyl계 등의 유기과산화물을 제조, 판매하는 정밀화학 사업 그리고 Polyester Polyol과 성형용 TPU, 코팅용 TPU, 접착제용 TPU 등을 생산하는 우레탄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017년 7월에는 자회사인 (주) 동성티씨에스에서 분할합병된 건자재 사업부가 편입되어 건축용 SMC 시트를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2021년 04월 (주)동성화학을 흡수합병함에 따라 동사가 영위하고 있던 PUS소재의 신발창용 폴리우레탄 수지 및 합성피혁용 폴리우레탄 수지 제품도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2011년도에 도입한 K-IFRS 기준에 따라 작성일 기준 현재 연결대상 종속회사에 포함된 회사들이 영위하는 사업으로는 화학 부문((주)동성화인텍, PT. Dongsung Jakarta, Guangzhou Dongsung Chemical Co.,Ltd., Dongsung Chemical(Vietnam) Co.,Ltd., PT. Dongsung Chemical Indonesia, Dongsung Finetec International), 중장비 및 자동차부품 부문((주)동성티씨에스,연운항도하유한공사), 바이오((주)제네웰) 입니다.
<사업부문 및 지주부문 요약 재무현황>
동성케미컬 2022년 매출액
[ 지주부문 ]
지주부문은 다른 회사의 주식을 소유함으로써 그 회사를 지배하는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며, 지배하는 자회사들로부터 받는 배당금을 주된 수입원으로 합니다. 자회사 등에 대한 자금 및 업무지원 사업을 진행하며, 그룹사의 효율적인 경영활동 및 수익성 개선, 지속가능경영을 위해 자회사 등에 대해 경영자문 및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룹차원의 정책 및 전략을 개발하여 자회사간의 시너지 효과와 경영효율을 극대화하고 M&A 및 신규사업개발 그리고 계열사에 대한 경영지원을 통해 그룹의 사업체질을 강화시키고 경영리스크를 최소화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1. 석유화학 부문
가. 제품군별 현황
석유화학(PC) 사업은 C6~C9의 나프타 유분을 원료로 연속 분별증류 및 재처리를 통하여 제조되는 제품으로, Normal-Hexane 외 Hexane류, Heptane류의 석유화학제품과 공업용 규격의 일반용제가 제품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Normal-Hexane
폴리에틸렌 제조시 촉매 Carrier 및 Diluent 가 주요 용도이며, 식품첨가물 허가품목으로 등록되어 식용유 생산시 부원료로도 투입되며, 그 외 점접착제, 세척제 외 다양한 용도로 적용되는 중간제 제품입니다.
(2) 고순도 Normal-Hexane
동성케미컬는 2012년 설비투자를 진행하여 일반 공업용 제품에서 순도를 높여 97% 이상의 고순도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공정을 갖추고 있습니다. 고순도제품은 전자재료용 세척제 및 시약용제, 제약용으로 적용되는 용제 제품으로, 고사양의 특수제품에 사용되는 제품입니다.
(3) 일반용제
점접착제, 페인트, 신너, 잉크, 이형제 외 다양한 산업의 용도로 적용되는 용제 제품으로, KS 품질규격 1~10호의 분류기준에 따라 각기 적용되는 제품입니다. 기존 획일화된 제품에서 환경적인 문제를 고려한 개선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으로 탈방향족 제품의 개발과 매출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성과로 나타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나.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공업용 중간체인 용제 제품의 특성상 다양한 산업 전반에 두루 적용되며, 급변하는 시대상황에서도 공정에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는 중간 부원료로서 확고한 수요처를 갖고있어 사업의 기반마련 및 지속성에 기여하고 있으며, 친환경 제품의 지속적인 개발을 통하여 시장 변화를 선도, 확대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동향 및 경기변동
기존 석유화학 사업은 범용의 규모경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제조사별 차이 없는 범용제품을 누가 원가경쟁력을 확보하여 많은 양을 판매하느냐가 사업의 주였습니다. 그러나 시대가 바뀌어 고객의 눈높이가 올라가 친환경, 고사양의 제품을 선호하는 고부가가치사업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2. 정밀화학부문
가. 제품군별 현황
정밀화학사업은 유기과산화물을 제조, 판매하는 사업으로서 유기과산화물은 용도별로 크게 개시제, 경화제, 가교제 그리고 개질제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1) 개시제
개시제란 PVC, LDPE, ABS 등의 중합 공정인 단량체(monomer)를 고분자(polymer)화 하는 초기 단계에 반응 시작을 이끌어 내는 제품군을 지칭하는 것입니다.
(2) 경화제
경화제란 인테리어 소재로 사용되는 아크릴계 인조대리석이나 불포화폴리에스테르(UPE)의 엔지니어드스톤 제조시에 경도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는 제품군을 지칭하는 것입니다.
(3) 가교제 및 개질제
가교제는 태양광 패널 제조시에 필요한 EVA sheet의 제조 및 초고압 전선 내부의 절연체 제조시에 사용되고 있으며, 개질제는 마스크나 기저귀 등에 사용되는 PP 부직포 제조에 사용되는 있는 제품군을 지칭하는 것입니다.
이와같이 유기과산화물은 우리 생활 속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어지는 제품으로, 동성케미컬는 약 20여 품종의 제품을 단위 공장 별로 생산하고 있으며, PVC, LDPE 중합용 유기과산화물을 연 2,500톤, ABS 중합용 및 풍력 발전 wind-mill 날개 경화용으로 사용되는 CHP를 연 2,000톤, 대리석 및 UPE 경화용 과산화물을 연 700톤, 그리고 초고압 전선용 가교제, EVA 수지 발포제 및 EPS 난연 보조제로 사용되는 DCP를 연 6,000톤 생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기과산화물 주원료 중 하나인 TBHP(t-butyl hydroperoxide)의 제조 기술을 확보하여 2022년 하반기부터는 전량 수입하여 사용하던 것을 대체하였고, 이에 따란 수급 불안정이 높았던 품목의 안정적인 확보를 통하여 경쟁력을 키울 수 있게 되었습니다.
나.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및 성장성
유기과산화물은 고분자, 플라스틱 제조 산업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적인 첨가제 산업의 하나로, 국내의 PVC, LDPE, ABS, PP 등과 같은 플라스틱 산업과 함께 발전해왔으며, 유기과산화물은 제품 특성상 취급이 타 제품에 비해 굉장히 어려워 수출을 통한 고객의 다변화 추구에 어려움에 있으나, 최근에는 지금까지의 기술 및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해외 거래선 발굴에 힘쓰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제품 그레이드를 확대하여 인조대리석용 경화제 및 가교제인 DCP를 미국, EU 및 일본 등 전세계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유기과산화물은 석유화학업계의 가동률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수요가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동성케미컬는 TBHP 등과 같은 원재료 개발을 통한 가격 경쟁력 강화, 품질관리 및 확고한 내수 물량을 바탕으로 전세계 해외시장으로의 판매 확대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2) 국내외 시장여건
정밀화학사업부의 유기과산화물 시장은 글로벌 제조사를 포함한 전 세계 4개사와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동성케미컬 50%, 경쟁사 40%, 기타 10%의 비율로 Market Share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3) 경쟁요소
동성케미컬는 여수 산업단지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원료 수급, 시장 확보, 고객 응대에 큰 매력도를 갖고 있습니다. 이는 석유화학단지 내의 접근성을 바탕으로 원료를 수급하고 고객사에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인합니다.
3. TPU사업부문
가. 제품군별 현황
TPU소재 사업은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가진 플라스틱 원료인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를 성형용 TPU(압출,사출), 접착제용 TPU, 자동차 내장용 TPU 등의 제품군으로 구성한 것입니다.
(1) 성형용 TPU
성형용 TPU 는 투명성 및 뛰어난 작업성 등으로 신발용품 및 자동차 부품, 스포츠용품, 산업용품, 의료용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용도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제품 및 Application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2) 접착제용 TPU
접착제용 TPU는 국내에서 동성케미컬가 최초로 개발한 TPU 접착제로 접착제, 코팅제, 도료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습니다. 세계적 접착제 회사인 Henkel 등에 공급하고 있으며 서남아시아, 중동, 동남아시아, 중국 등 여러 나라에 수출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존 판매되는 제품 이외 신규 접착제 개발을 통하여 다양한 제품군 확보 및 매출 확대를 추진 중입니다.
(3) 자동차용 TPU
자동차용 TPU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현대/기아차에 적용하였으며 매출을 크게 확대하여 왔습니다.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동성케미컬만 독점 생산 중에 있으며, 또한 자동차 외장보호필름용 TPU 및 다양한 Application에 적용하고자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나.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TPU는 타 Plastic 원료인 PP, ABS 등 보다 고가의 제품이지만, 탄성 및 촉감 등에서 타제품 대비 우수하여 Sheet, Film, Hose 등 압출제품과 사출제품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어 산업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PVC 등 환경 규제 물질 사용에 대한 Issue와 친환경 소재인 TPU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을 계기로 사용이 확대되어주요 산업들의 변화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신발산업 분야에서는 원단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부분들을 TPU Sheet 및 Film으로 표현하게 되면서 신발산업에 TPU 적용이확대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외에도 계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하여 항공부품, 중장비, 자동차부품 등 대형산업 이외, 주방용품, 의료용, 휴대폰부품, 완구 등 우리 생활 주변 어디에서든 적용제품을 확인 할수 있을 정도로 생활산업 밀접한 곳까지 확대 되어 있습니다.
(2) 국내외 시장여건
TPU사업부의 Global 시장에서 아시아 시장은 60%가 넘을 정도로 수요가 집중되어 있으며, Application 중에서는 Engineering, Footwear 부분이 60%를 정도 차지 하고 있습니다 (출처, IAL Consultanst 2019). 국내시장은 2021년 25,000Ton 내외로 M/S가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동성케미컬 시장점유율은 30% 수준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해외 경쟁업체로는 BASF, Covestro, Lubrizol, Wanhua 등이 있으며 국내업체는 송원산업, 동아화학, 코오롱 등이 있습니다.
(3) 경쟁요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TPU시장은 가격경쟁력 및 기술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 제품판매, 신규시장 창출 등이 경쟁을 좌우하고 있습니다. 원가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을 갖추는 동시에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및 판매 확대를 통한 수익성 제고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으며, 기존 시장 외 매출 확대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동성케미컬는 2가지 생산방식으로 고객의 요구에 맞춰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며 경쟁업체들과는 달리 성형용, 접착제용, 자동차용 등 다양한 제품군으로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는 강점이 있습니다.
4. PU BU부문
가. 제품군별 현황
PU BU부문은 신발창용 폴리우레탄 수지 Foam Solution, 합성피혁용 폴리우레탄 수지 Coating Solution, Elastomer, 수성용 폴리우레탄 수지(ENVITHANE Series) 등의 제품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Foam Solution 소재의 신발창용 폴리우레탄 수지
편안한 착용감, 고물성, 미려한 외관, 우수한 압축 변형률 및 접착력으로 신발창용 겉창, 중창, 안창용 소재로서 다양한 용도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축척된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된 PUS 소재의 자사 NEOPAN 시리즈는 일반 PU에 비해 탁월한 생산성, 기능성, 우수한 내가수분해성, 항균성, 충격흡수성을 가지고 있으며, 세계 최초로 PUS 소재의 신발 중창용 폴리우레탄 수지를 개발하여 NIKE 등 세계적인 스포츠화 회사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2) Coating Solution 소재의 합성피혁용 폴리우레탄 수지
자동차, 가구, 신발, 잡화용 합성피혁 및 섬유코팅, 도료 등에 적용되는 제품으로 기계적 물성, 뛰어난 내구성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는 제품에 적용됩니다. 경쟁소재인 PVC에 비해 물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기능을 만족하며 특히 최근 환경유해물질이 없는 친환경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나.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폴리우레탄은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어 산업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계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하여 주요 산업들의 변화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발산업에서 폴리우레탄은 다양한 용도로 적용되어 신발의 기능성과 디자인을 향상 시키는 중요한 소재로서 개발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및 동향
1) 세계 신발산업 동향
신발은 단순 기능의 생활 필수품에서 패션과 기능을 포함하는 고기능 패션상품으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세계신발산업은 스포츠 및 레저 인구 증가, 신흥국가들의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신발 수요 증가 등의 영향으로 안정적 성장세에 힘입어 비교적 일정하게 성장하여 2010년 이후 약 10년간 20.5% 성장했으나, COVID-19 팬데믹과 중국을 둘러싼 국제 정세 영향으로 글로벌 주요 생산국이 중국, 베트남에서 동남아시아 등 다른 국가로 이동을 준비중이고, 또한 급변하는 소비패턴 변화로 스니커즈가 포함된 세계 운동화 시장은 2021년 약 685억 달러에서 2025년까지 약 13% 씩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출처 * 스태티스타 세계 운동화 시장 규모에 대한 통계)
2) 한국 신발산업 동향
한국신발피혁연구원의 분류에 따르면 국내 신발기업은 규모와 사업형태에 따라 크게 5가지 유형으로 나눠지는데, 1) 대형 OEM 업체, 2) 브랜드를 소유하면서 OEM을 병행하는 기업, 3) 중소 OEM, 4) 영세 OEM, 5)부품소재 기업입니다. 국내 주요 신발기업으로는 태광실업, 창신, 화승, 트렉스타, 삼덕통상, 학산, 보스산업 등이 있으며, 상장 업체이자 브랜드를 소유하면서 OEM으로 병행하는 기업으로는 휠라코리아, 나이키와 아디다스 운동화 원재료 공급 및 부분품 생산 대표 업체로는 백산과 화승엔터프라이즈를 꼽을 수 있습니다. 휠라코리아는 ‘FILA’ 브랜드의 성공적인 국내 턴어라운드를 바탕으로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으며, 백산은 나이키와 아디다스에 들어가는 합성피혁을 공급, 화승인더스트리는 아디다스 OEM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신발산업은 소비재 산업으로 국내, 외 경기 및 트랜드에 민감하므로 지속적으로 시장분석 및 고객동향을 분석하여 발빠른 대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세계 신발산업은 1970~1980년대의 수출 효자산업으로 경제성장의 주역을 담당하였으며, 90년대 이후 한국, 대만 등이 자국의 인건비 상승 및 인력난 심화 등으로 인건비가 저렴한 중국과 인도네시아 등 후발 개도국으로 생산설비를 이전하였습니다. 이에 전통적인 신발 수출국인 한국, 대만의 신발 산업은 쇠퇴하는 반면,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 국가들의 세계 신발시장에서의 생산 비중이 크게 높아졌으며, 신발 소비패턴은 양극화되어 한편으로는 유명 브랜드 위주에서 저가의 실용성을 중시하는 소비패턴으로 변화하였습니다. 나이키, 아디다스, 푸마, 아식스, 스케쳐스 등의 글로벌 Top 5 메이저 업체들은 인건비가 비싼 한국, 대만 등에서 저임금 국가인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으로 OEM 수입선을 대거 전환하였고 한국, 대만 등 경제성장의 혜택을 누린 국가에서는 고기능성 신발과 스포츠, 레져 관련 전문분야에 적합한 전문제품의 수요가 확대되어 신발산업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신발산업은 2005년 이후 재부상하고 있으며, 성장 요인은 기능화 시장 성장과 부품 중심의 수출구조 전환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4) 경쟁요소
신발소재의 경쟁요소는 경량화, 고기능화, 친환경 등이 추세이며, 시장변화 및 요구에 부응하는 지속적인 품질 개선과 신제품 개발을 통하여 시장을 선도할 수 있어야 합니다. 동성케미컬는 이에 부응하는 저비중 신발창용 원액, Recycled 신발창용 원액, 고탄성 신발창용 원액 등을 지속적으로 개발 중이며 합성피혁용 소재의 주 경쟁요소는 고투습, 고물성 및 친환경 등의 고부가가치 기능경쟁과 일반 합성피혁의 작업성 및 생산성향상을 통한 가격경쟁입니다.
신발창용 폴리우레탄 사업의 국내 경쟁사로는 강남화성, 동아화학, 삼성포리머 등과 해외경쟁사로는 COIM, BASF, 화봉, DOW 등이 있으며, 합성피혁용 폴리우레탄 사업의 국내 경쟁사로 (주)화인화학, (주)일삼, (주)대원폴리머 등과 해외 경쟁사로는 DIC, SEIKO 등이 있습니다.
5. SMC (Sheet Mold Compound)
가. 제품의 현황
SMC는 Sheet Molding Compound의 약자로 불포화폴리에스터 수지의 가공방법 중 하나이며 Sheet 형상의 섬유보강 복합재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1960년 독일 Bayer社에서 최초 개발하여 미국에서는 트럭 후드용으로 적용되었고, 일본에서는 다케다약품공업사를 통하여 욕조용으로 적용되었습니다. 한국에는 1980년대 일본 니뽀리사를 통하여 기술이 전수되어 건자재용으로 적용되었고 현재는 상용차 및 전기차 부품에도 접목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나. 제품의 주요 특성
SMC는 Glass Fiber(혹은 Carbon Fiber)를 Resin에 충진제, 안정제, 촉매 등을 혼합/분산한 compound로 함침시킨 후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점도를 높혀 점착성을 없앤 성형성이 뛰어난 sheet상의 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성형재료입니다.
(1)성형유동성 : 성형유동성이 우수하므로 복잡한 형상이나 대형제품의 성형이 가능함
(2)생산성 : Cycle Time이 짧아 생산성이 높으므로 대량생산에 적합함
(3)기계적강도 :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 부품, 산업 및 건축자재에 적용 가능
(4)치수안정성 : 저수축 Type으로 성형품 치수정도가 우수하여 정밀한 제품도 성형 가능함
(5)전기적성능 : 절연저항, 내아크성 등의 우수한 전기적 성능 보유
(6)내열성 : 열변형 온도가 높고 열에 의한 노화가 적음
(7)난연성 : 자기소화성 또는 난연 등급에 준하는 배합이 가능함
다. SMC 적용분야
수송, 건축, 산업용품으로 구분됩니다.
(1) 수송분야
- 전기차, 버스, 트럭 및 철도 부품(패널)
- 기존 소재 대비 경량성 향상
(2) 건축분야
- 물탱크, 욕실자재(천장판, 바닥판, 욕조)
- 기존 소재 대비 기계적 강도가 뛰어남
(3) 산업분야
- 전기절연판, 정수장 커버 기타
- 기존 소재 대비 전기적성능(절연저항, 내아크성) 및 성형성이 우수
라.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및 성장성
동성케미컬의 SMC 제품은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자동차(전기차를 포함한 상용차)분야에서 M/S No. 1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일본, 중국 시장의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환경 및 에너지 위기로 인해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자동차는 기존 내연기관 중심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이 급속도록 진행될 것이며 이에 따라 경량화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복합소재 특히 SMC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기술적 측면에서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하늘을 비행하는 수송수단(UAM)인 드론 택시가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동성케미컬는 이에 대한 기술적 역량을 축적(탄소섬유를 이용한 Carbon SMC, 열가소성 수지 개발)하고 있습니다.
(2) 경기변동의 특성 및 경쟁요소
전기차 시장이 이제 막 태동하여 활성화되는 시기임을 감안하면 시장 수요 확대는 필연적인 흐름으로 보입니다. 다만 역동적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대체 소재 개발에 어느 시기보다 빠르게 움직이는 산업임을 감안할 때,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 역량 확보를 통하여 동종 경쟁사(한화첨단소재)보다 한 단계 앞서갈 뿐만 아니라 대기업 중심의 복합소재 경쟁사(코오롱인더스트리, 롯데케미칼)들과도 경쟁할 수 있는 강소업체로서 기틀을 다져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6. VIXUM(Melamine Foam)
가. 제품의 현황
지난 2008년부터 지식경제부가 주관하는 부품소재기술개발과제의 일환으로 정부의 지원 하에 연구개발을 진행하여, 2013년 멜라민폼 상업화에 성공하였습니다. 현재 생산되고 있는 멜라민폼은 VIXUM이라는 브랜드명으로 전 세계 산업, 수송, 어쿠스틱 및 생활용 클리너 부문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적극적인 해외 마케팅 활동을 통해 유럽, 일본, 북미 등 해외 지역에 제품을 소개하여 우수한 물성 평가를 받았으며 수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나. 제품의 주요 특성
VIXUM은 열경화성 수지인 멜라민 수지를 발포해 만든 멜라민폼으로 6각형 3차원 망상구조 및 Open Cell이 독특한 구조를 지니고 있어 아래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우수한 자기소화성
- 질소 함량이 월등히 높은 멜라민수지를 원료로 사용
- 타소재와 달리, 별도의 난연재 첨가 없이 탁월한 내열성 및 난연성 발휘
- 화재 발생시 탄화 현상과 미량의 연기만을 발생시킬 뿐 불씨가 많지않아 소방안전 기준에 최적
(2) 탁월한 흡음성
- VIXUM의 독특한 3차원 망상 형태의 오픈셀 구조로 공간음향 개선에 최적
(3) 뛰어난 단열성, 경량성, 내열성
- 낮은 열전도율(0.032 W/m.k), 뛰어난 단열성 특징
- 기존 소재 대비 월등한 경량성(10kg/㎥)
- -200℃ ~ 200℃ 극한의 온도에도 최초의 물리적 성질을 유지하는 높은 열안정성 보유
(4) 클리닝 효과
- 극세사와 유사한 구조를 갖춘 유연한 재질임에도 타 발포성 소재와 달리 유리처럼 단단해 탁월한 클리닝효과를 나타냄.
다. VIXUM의 적용분야
산업, 수송, 어쿠스틱 및 생활용 클리너 제품으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1) 산업 분야
- 보냉재, 파이프라인, 보일러 배관 보온, 공조기, 덕트용 흡음단열재
- 전자레인지, 청소기, 세탁기 등 가전 제품 흡음단열재
- 방화문, EV 배터리 등 높은 화재 안전성이 요구되는 각종 영역
- 낮은 열전도율 및 높은 장기온도에서 사용가능
(2) 수송 분야
- 자동차 및 철도 NVH, 항공기, 우주선, LNG선박, 군함 등의 흡음/단열재
- 기존 소재 대비 흡음성 향상 및 경량성 향상
- 가공 및 설치가 쉽고, 유지보수가 용이
(3) 어쿠스틱 분야 (우수한 흡음 기능, 자기소화성, 경량성, 아름다운 인테리어 실현)
- 빌딩 어쿠스틱, 룸 어쿠스틱 등의 인테리어 내장 흡음재
- 22년 1월 VIXUM® DECO, VIXUM® DECO ART 프리미엄 브랜드 출시
- 화재안전성, 경량성, 3D 가공, UV프린팅 가공 등을 통한 다양한 인테리어 구현
(4) 생활용품 분야
- 생활용 클리너 시장
- 세제 없이 물에만 적셔 사용해도 우수한 세척력 구현
라.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및 성장성
동성케미컬의 멜라민폼은 세계에서는 2번째,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에 성공하였고, 국내 및 해외 시장의 산업, 수송, 어쿠스틱 및 생활용 클리너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환경·에너지 측면에서 에너지 효율 증대, 친환경 소재에 대한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고, 각종 화재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내화 성능의 소재가 더욱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동성케미컬의 멜라민폼 VIXUM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전기 전자, 배터리, 메디컬 키트 등 각종 산업재, 자동차, 철도, 선박 등 각종 수송 수단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뛰어난 흡음 성능과 안전한 화재 성능, 그리고 다양한 디자인 표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유럽, 미주 지역을 중심으로 성숙된 어쿠스틱 분야가 있습니다. 동성케미컬는 22년 초 VIXUM® DECO 신규 브랜드를 출시하여 한국을 중심으로 아시아 시장에 공간 어쿠스틱 분야를 본격적으로 소개하며 시장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 경기변동의 특성 및 경쟁요소
VIXUM은 산업, 수송, 어쿠스틱, 생활용 클리너 등의 다양한 산업 영역에 적용이 가능함에 따라 어느 한 산업의 경기변동이 발생하여도 안정적인 매출이 유지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각종 산업 분야에서의 신규 용도 개발 및 신규 소재와의 융복합 협업이 활발히 추진 중으로, 지속적인 품질 향상을 통해 기존 시장뿐만 아니라 신규 시장을 활발히 개척하며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3)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동성케미컬는 2013년 4월 29일에 부산광역시 소재의 멜라민폼 전용 1개라인의 생산공장을 완공하여 멜라민폼의 양산체제를 구축하였습니다.
'기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림B&G - 세림비앤지 주가전망 및 진공성형 제품 (0) | 2023.04.01 |
---|---|
동성케미컬 2022년 평균 연봉 및 임원 연봉 (0) | 2023.03.31 |
카나리아바이오 2022년 평균 연봉 및 임원 연봉 (0) | 2023.03.30 |
카나리아바이오 주가전망과 바이오 및 사료사업 (0) | 2023.03.30 |
비보존 제약 기업정보와 주가흐름, LED/제약/화장품 (0) | 202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