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진식품 기업정보와 매출액

반응형

웅진식품주식회사, 영문으로는 「WOONGJIN FOODS Co., Ltd」라고 표기합니다. 또한, 약식으로는 「웅진식품(주)」라고 표기합니다.

 

웅진식품은 1976년 04월 28일 「동일삼업주식회사」로 법인 설립등기를 하였습니다. 한편, 1988년 10월 「웅진인삼주식회사」로 회사명을 변경하였고, 이후, 여러 식품군으로 사업을 확장하고자 1996년 04월에 현재의 「웅진식품주식회사」로 회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본   점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유구마곡사로 136-24 041-841-6911
서울지점 서울 중구 퇴계로 100 (스테이트타워남산 3층) 02-3668-9114
홈페이지 http://www.wjfood.co.kr -

우리회사는 본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지정하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회사가 아닙니다.

 

- 음료 산업의 현황 및 전망

(1) 내수 산업
음료산업은 소비자의 실질구매력 변동과 내수경기 동향, 소비자의 소비성향 및 기호변화등에 의해 영업실적의 기복이 큰 기호산업이자 전형적인 내수산업이다.

(2) 제품수명주기
음료산업은 1960~1970 년대 초의 도입기, 1970 년대 중반 ~1980 년대 초의 성장기를 거쳐 1980 년대 중반 이후 성숙기로 접어든 상태이며 대체로 제품수명주기가 짧아 기존 제품군 이외에 다양한 제품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제품수명이 장기 지속되는 음료의 경우는 제품차별화를 통해 소비자 기호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시장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3) 계절에 따른 수요변동
총수요의 약 55% 가 성수기인 4~8 월에 집중되고 있어 일기변화가 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실제적으로 기온, 강수량 등 일기상황에 따라 소비가 크게 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4) 시장규모
음료시장은 산업의 성숙도가 높아 시장의 규모 변화가 크지 않으며 소비자의 트렌드 변화에 따라 음료시장 내에서 음료의 종류별 변화가 뚜렷한 편이다.


2020년 음료시장의 판매액은 전년대비 1.34% 증가한 5조 1,923 억 원을 기록하며 성장하였는데 이는 액상커피와 혼합음료의 판매 정체와 과즙음료 두유의 판매 감소에도 음료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탄산음료의 판매가 호조를 보였기 때문이다.

 

탄산음료는 COVID 19 확산에 따른 배달 시장의 성장과 내식 증가로 탄산음료 소비가 증가한 가운데 웰빙 트렌드 확산으로 물을 대신할 청량감 있는 탄산수 소비도 증가하며 전년대비 4.25% 증가한 2조 557억 원을 기록하였다.

 

액상커피는 대용량 PET 제품의 신규 브랜드 및 신제품 출시에 따른 판매 증가에도 사회적 거리두기로 캔커피 컵커피 등의 판매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전년대비 0.66% 증가한 1조 199억 원을 기록하며 정체된 모습을 보였다.

 

혼합음료는 야외활동 감소로 이온음료와 비타민음료 소비가 부진하며 전년대비 0.76% 증가한 9,095억 원에 그쳤다 과즙음료는 당분이 포함된 과채음료 판매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전년대비 2.72% 감소한 7,971 억 원을 기록하였으며 두유는 다양한 대체음료 출시 로 판매가 위축되며 전년대비 1.49% 감소한 4,102 억 원을 기 록하였다.


2021년 음료시장은 COVID 19 장기화 영향에 따른 배달 시장의 성장세 지속으로 탄산음료 소비가 증가한 가운데 대용량 RTD 커피를 중심으로 액상커피 소비 역시 양호한 모습을 보이며 전년대비 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두유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주요 소비자인 중장년층의 야외활동이 위축되면서 오프라인 채널을 중심으로 판매 감소하였고 당 함유량이 높은 과채음료 역시 판매 부진이 지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5) 전망
2022 년 음료시장은 COVID 19 백신 보급 확대 및 방역정책 완화에 따른 야외활동 증가로 스포츠 음료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탄산수 시장의 성장세와 저당 저칼로리 콜라 및 사이다의 인기에 힘입어 탄산음료 판매 도 증가하며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 문화로 단백질 함량이 높은 두유 판매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액상커피의 경우 캔커피의 판매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보여지나 대용량 RTD 커피의 수요 증가 라인업 확대 및 세분화 등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당 함 유 량이 높은 과채음료의 경우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KISLINE Industry Report 자료에서 발췌)

- 웅진식품의 주요 제품 및 매출에 관항 사항 (2022년 기준)

웅진식품의 주요 제품 및 매출에 관항 사항 (2022년 기준)

 

 

웅진식품은 주식회사 웅진홀딩스와 2013년 12월 웅진의 브랜드를 전세계에서 사용할수 있는 비독점적 사용권을 허여하는 브랜드사용권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동 브랜드사용권에 대한 로열티는 매출액의 일정 비율로 산정되며, 회사는 향후 예상매출에 근거하여 산정된 로열티 금액 220억을 선지급하고 이를 무형자산으로 인식하였습니다. 회사는 동 무형자산을 매출액 비례로 상각하고 있으며 당기 중 상각비는 1,053백만원(전기: 1,003백만원)입니다.

 

웅진식품은 서울시 금천구에 중앙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연구소 총 인원은 12명 입니다. 웅진식품의 연구소에서는 제품 경쟁력을 확보하고 차별화된 제품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래 핵심기술을 연구 개발, 선진 R&D 역량 및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 연구소 주요 업무
- 신제품 개발 : 국내외 트렌드 조사 및 시장조사를 통한 타겟 제품 설정 후 제품 개발 프로세스
- 품질 안정성 확보 : 영양성분 분석 및 전문분석 시스템, 식품 위해 물질 분석시스템, 식품 안전 이슈 사전 대응 시스템
- 원천기술 확보 : 핵심분야 육성을 통한 원천기술 확보 및 제품 다양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