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디생명공학의 사업은 크게 화장품 사업부문, 건강식품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업부문 및 주요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부문 | 주요제품 | 주요 브랜드 |
화장품 | 마스크팩, 기초 및 색조 화장품 등 | SNP, SNP Prep, 히든랩, 엠솔릭 등 |
건강식품 | 식품소재, 건강기능식품 등 | 브이해빗 등 |
에스디생명공학 화장품사업 중 소비자들에게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제품은 마스크팩이며, 그 외 기초 및 색조 화장품 시장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건강식품사업의 경우 에스디생명공학만의 기술을 활용하여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기능성 원료를개발하고 있으며,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강식품 시장은 지속적인성장과 시장의 수요가 예상되는 만큼 유통채널의 다각화를 통해 본격적인 성과를 거둘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021년은 코로나19 확산으로 국내외 화장품 시장과 소비 행태에 변화가 지속되며,.이로 인한 온라인과 모바일 채널에서의 성장으로 온라인 유통시장의 확대가 지속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시장 조사 기관인 Euromonitor에 따르면 2021년 글로벌 화장품 시장규모는 4,364억 달러로 전년대비 2.7%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화장품 선진시장인 북미, 유럽에서의 재정위기 등으로 2016년 화장품 산업의 성장이 다소 둔화 되었지만 2017년을 기점으로 다시 반등하는 추세입니다. 향후 2022년 글로벌 화장품 시장규모는 4,487억 달러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됩니다. 우리나라 2021년 화장품시장규모 전망은 132억 달러로 인도에 이어 9위로, 세계 화장품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7% 수준입니다.
*자료: Euromornitor International, 2020 Mar
화장품 산업은 전통적으로 경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계절 변화에도 민감한 산업이었으나, 2007년 이후 화장품 시장 성장율은 경기변동에 비탄력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2008년말부터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소비위축에도 불구하고 성장률이 오히려 상승하는 등 필수 소비재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건강식품 산업은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2000년대 초반 대한민국이 소비사회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삶의 질을 추구하는 웰빙(Well-being)라이프 시대로 전환된 이후 건강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 인하여 건강 관련한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가 출시되며 식품산업에 있어서도 전문화된 기능성 식품에 대한 시대적 요구가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전 연령대에 걸쳐 일상생활에서의 건강기능식품 섭취가 보편화되면서 시장 성장세는안정화되고 소비자 선택권은 넓어지는 긍정적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향후 건강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는 만큼, 시장의 양적·질적 혁신을 꾸준히 이어나간다면 견조한 성장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화장품 산업은 계절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동절기에는 화장품 사용의 증가로 판매가 향상되며, 하절기에는 판매가 하락하여 연중 S자형 매출구조를 보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자외선 차단 제품과 체취 방지용 제품 등 하절기용 기능성 화장품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보편화되면서 계절적 변동요인은 점차 축소되고 있는 추세이며, 봄철 황사 및 미세먼지로 부터 피부를 보호하고자 화장품업계에서는 유해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안티폴루션(Anti-Pollution)에 미세먼지 제거와 흡착 방지 기능 등을 담은 화장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황사와 미세먼지 등으로 대기 환경 오염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자 하는 관심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에스디생명공학은 코스닥 상장사로 현재 주가 2035원이다.
시가총액 456억원으로 코스닥 시총순위 1304위를 기록 중이다.
① 화장품사업부문
국내에서 화장품의 수요는 필수 소비재의 성격으로 연간 소비량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경제상황, 계절적인 요소, 국가적 재난 등에 있어서는 수요의 변동요인이 존재합니다.
경기 침체기에는 소비자들의 하향구매 경향이 나타나 중저가 브랜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며, 전통적으로 동절기에 화장품 사용량의 증가로 인하여 판매가 향상되고 상대적으로 하절기에 판매량이 감소하는 계절적 요인이 있습니다. 최근 국내외 경기침체로 인해 뷰티시장에서도 합리적인 가격과 착한 성분을 내세운 화장품들이 크게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가성비, 가심비를 내세운 소비트렌드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됩니다.
② 건강식품사업부문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있으며, 최근 코로나19 등 외부환경 영향으로 인하여 건강에 대한 관심은 증가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건강식품사업은 고부가가치의 선진국형 성장시장이라 할 수 있으며 그 수요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과거 중장년층 세대에서 인기가 있었던 건강식품사업은 온라인과 모바일 유통채널의 발달로 인해 젊은층의 유입이 가속화되는 추세이며, 각각의 소비자 Needs에 부합하는 다양한 원료 기반의 건강기능식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기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부건설 연봉 정보 (0) | 2022.07.13 |
---|---|
동부건설 주가와 사업부문, 매출액과 연관성은? (0) | 2022.07.13 |
쌍용자동차 기업정보, 주가 (0) | 2022.07.11 |
HLB의 주가 분석, HLB 신약개발(항암제, 면역치료제등) (0) | 2022.07.11 |
유틸렉스 연봉 정보 (0) | 2022.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