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오늘(2일) 오전 이헌승 국회의원과 함께 부산진구 전포동에 위치한 약 6,600㎡(2,000평) 규모의 국방부 유휴부지를 활용한 문현혁신도시 연계 업무지원시설 조성을 시작으로 「광무 워터프론트 파크」사업을 착수하고, 관련 부지 매입 방안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광무 워터프론트 파크」사업은 동천, 문현혁신도시와 연계한 워터프론트 및 지원시설을 구축해 지역 활력 거점을 조성하고, 근대 산업화의 근간이었던 동천 일원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도시혁신사업이다. 현재 서면 원도심에서부터 북항까지 지역 여건을 살펴보면, 문현 혁신도시, 부산항 해양산업 클러스터, 부산 시민공원이 조성 완료되었고 북항 재개발, 범천동 차량기지 재배치 사업들이 추진 중으로, 이 일대 전체의 발전 잠재력을..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부산의 대표 공기업인 ‘부산시설공단’과 ‘부산지방공단 스포원’이 5월 1일자로 통합한다고 밝혔다. 통합법인의 명칭은 ‘부산시설공단’이다. 시는 지난해 8월 민선 8기 공약추진기획단이 발표한 ‘민선 8기 시 공공기관 혁신 방향’에 따라 공공기관 유사·중복 기능에 따른 비효율을 해소하기 위해 공공기관 효율화 방안을 추진해 왔다. 지난 3월 말 부산복지개발원과 여성가족개발원의 시정 연구기능을 부산연구원으로 일원화하고, 부산복지개발원을 부산사회서비원으로 전환한 바 있으며, 기관의 통합은 이번이 처음이다. 1992년 설립한 부산시설공단은 현재 도로·터널·교량, 주차장, 공원, 장사시설 등 부산시 시설관리의 최일선에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2003년에 설립한 부산지방공단 스포원은 경륜장,..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이하 ‘연구원’)은 대기환경측정망의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2022년 대기오염도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원은 대기환경기준 6개 항목(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오존, (초)미세먼지)을 대상으로 대기오염 실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도시대기 28개소, 도로변 3개소 총 31개소의 대기환경측정망을 운영하고 있다. 부산지역(도시대기) 연평균 농도 조사 결과 ▲아황산가스 0.003 ppm(기준 0.02 이하), ▲일산화탄소 0.3 ppm(8시간 기준 9 이하), ▲이산화질소 0.015 ppm(기준 0.03 이하), ▲오존 0.033 ppm(8시간 기준 0.06 이하), ▲미세먼지 27 ug/m3(기준 50 이하), ▲초미세먼지 15 ug/m3(기준 15 이하)로, 환경정책기본법 ..
(주)PNS커튼월은 창호전문그룹으로 1978년 설립하여 다양한 친환경 신소재개발과 고효율,고단열 에너지 자재생산 등 품질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2010년 창호기술연구소를 설립한 이래로 전문 연구 인력이 오직 창호 연구에만 매진하여 그 결과 고호율에너지 자재생산, 창호결합특허기술 등 11건의 특허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외주처리 없이 one stop system이 가능한, 신속하고 정확한 생산설비 시스템을 갖추었습니다. 피엔에스커튼월 2022년 매출액 피엔에스커튼월 주요 제품 제품명 세부제품명 E-모던창 대형단창, 대형이중창, 공틀일체형창, 프로젝트창 케이스먼트창, 터닝도어 E- 발코니창 발코니창, 발코니이중창, 퍼펙트창,익스텐션창,입면불할창, 해안전용창 E- light창 대형단창,..
엠소닉 2022년 평균 연봉 정보이다. 엠소닉 남자 평균 연봉은 5800만원이며 여자는 4100만원이다. 엠소닉 평균 근속연수는 5년 6개월이다.
엠소닉는 1972년 10월에 설립되어 GENERAL SPEAKER(TV, AUDIO)를 제조, 수출하고 있습니다. 엠소닉는 2005년 회사정리절차 등으로 인하여 SPEAKER 사업부문 매출실적이 부진하였으나, 2005년 10월 회사정리절차 종결과 동시에 37년간의 SPEAKER 개발능력을 바탕으로 기존거래처와의 관계 정상화 및 신규거래처 등의 발굴을 통하여 향후 매출이 증대 되었으며, 기존 거래처인 LG전자 등과는 신규모델의 공동개발을 통하여 지속적인 매출증대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엠소닉 제품은 TV(PDP,LCD,LED,3D,UHD), AUDIO등의 가전제품과 PC, 모니터 등의 컴퓨터 관련 제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스피커산업은 전방산업인 전자산업, 자동차산업의 경기변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시장의..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올해 2월부터 시행 중인 종이 없는 건축위원회 심의를 구·군으로 확대 운영한다고 밝혔다. 시는 그간 건축위원회 심의신청 시 건축행정시스템 세움터를 통해 전자파일로 접수하고, 위원회 심의 시 수백 장에 달하는 심의 도서와 각종 계산서 등을 20여 명의 위원 수만큼 종이 도서로 제작해 심의를 진행하고 끝나면 폐기하는 방식으로 위원회를 운영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운영 방식이 비용·시간·환경문제를 일으킨다는 지적이 계속 제기되면서, 시는 지난 2월부터 시 건축위원회를 ‘종이 없는 건축위원회’로 운영하고 있다. 지난 2개월간 운영 결과 부동산 경기침체로 인한 심의 건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2천 8백만 원의 도서 제작비용 절감과 약 541kg의 탄소 배출 감소 효과를 가져왔으며, 민원인의 시..